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공대상상
첫 화면으로 이동
Vol.50
2025년 3월
이전호 보기 열기
이전호 목록
Vol.49
2024년 12월
Vol.48
2024년 9월
Vol.47
2024년 6월
Vol.46
2024년 3월
Vol.45
2023년 12월
지난호 보기
이전호 보기 닫기
메뉴 열기
검색 열기
주 메뉴
공학으로 세상 따라잡기
공학, 미래를 IT다
공대생의 논문 읽기
기획기사
나는 괴짜다!
특집기사
어때요, 코딩 참 쉽죠?
학과특집
학과 소개 및 궁금증
우당탕탕 김공대의 대학생활 이야기
사회 속의 공대생
선배 공학인과의 만남
공대생의 문화탐방
공대생의 슬기로운 대학생활
공대생의 눈으로 영화보기
책 읽어주는 공대생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서울공대 웹진
SNU Innovation
구독하기
공유하기
지난호 보기
이벤트 참여하기
링크드인
페이스북
유튜브
메뉴 닫기
전체검색
항목
전체
호수
코너명
제목
글/편집
내용
검색어
검색
메뉴 닫기
'공학으로 세상 따라잡기' 건너뛰기
공학으로 세상 따라잡기
슬라이드 정지 및 플레이
공학, 미래를 IT다
공대생의 논문 읽기
공학, 미래를 IT다
양자 컴퓨터 살펴보기
UN은 양자역학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2025년을 '세계 양자과학기술의 해'로 지정하였습니다.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뜨거웠던 2024년을 지나 2025년에는 양자과학기술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공대생의 논문 읽기
접고 또 접고
- 노벨화학상과 단백질
이번 2024년 노벨화학상은 AI를 빼놓고 얘기할 수 없습니다. 수상자 중에서 구글의 AI 연구원이 데미스 허사비스와 존 M. 점퍼, 이렇게 2명이나 된다는 점에서 말이죠.
슬라이드 이전으로 이동
슬라이드 다음으로 이동
기획기사
나는 괴짜다!
손의 움직임만으로 마우스를 조작할 수 있을까? IMU 센서로 만드는 에어 마우스 실험!
특집기사
비만 치료제, 어디까지 알고 계신가요?
어때요, 코딩 참 쉽죠?
생성형 AI로 나만의 음악 만들기
학과특집 · 사회 속의 공대생
학과특집
학과 소개 및 궁금증
우리나라를 빛내는 가장 거대한 공학, 조선해양공학과
학과특집
우당탕탕 김공대의 대학생활 이야기
김공대, 시력을 되찾다
사회 속의 공대생
선배 공학인과의 만남
자율운항 기술의 미래를 이끄는, 현대 아비커스 '박세용 선배님'
이벤트
공상이미지를 찾아라
공대생의 문화탐방
공대생의 슬기로운 대학생활
낭만 찾고 친구 찾은 새내기의 LnL 1년 생활기
공대생의 눈으로 영화보기
마법 속의 과학,
위키드
책 읽어주는 공대생
그날의 소년이 당신에게
- 소년이 온다